import와 @Import의 차이
2024. 7. 7. 10:36ㆍTIL
✔오늘 배운 중요한 🔑 point
- import는 클래스나 인터페이스를 코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져오는 것이고, @Import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설정 클래스를 등록하는 것이다.
- 일반 import는 단순히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뿐, 스프링 컨텍스트에 빈으로 등록하지는 않는다.
- @Import는 공통 설정을 여러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서 재사용할 때 유용하다.
🎯 오늘 배운 내용
일반적인 import 문
import com.teamsparta.withdog.domain.post.repository.PostRepository
일반적인 import 문은 코드에서 다른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
@Import 어노테이션
@Configuration
@Import(value = [RedisConfig::class, SecurityConfig::class])
class AppConfig {
}
@Import 어노테이션은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설정 클래스를 등록하는 것
🤔 어떻게 활용할까?
@Import 어노테이션은 모듈화된 구성, 외부 라이브러리 설정 통합, 공통 설정 공유 등 다양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며 이를 통해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구조화하고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.
📓 오늘의 한줄
"It does not matter how slowly you go as long as you do not stop."
- Confucius -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uld not initialize proxy [com.teamsparta.withdog.domain.user.model.User#1] - no Session 오류 (0) | 2024.07.09 |
---|---|
ngrinder 기본 설정 (0) | 2024.07.08 |
ApplicationRunner를 사용하여 더미데이터 적재하기 (0) | 2024.07.06 |
Cache를 이용하면서 조회수 업데이트하기 (0) | 2024.07.05 |
Cache을 이용한 성능개선 프로젝트 (3일차) (0) | 2024.07.04 |